본문 바로가기
정치밥

전두환 ‘정의사회구현'과 MB의 ‘공정한 사회’

by 밥이야기 2010. 8. 15.
728x90

 

 

 

이명박 대통령은 65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공정한 사회’를 들고 나왔다. 휴가 끝에 내놓은 이명박 정부 하반기 키워드가 탄생된 셈. 경축사를 읽으면서, 5공 전두환 때의 정의사회 구현이라는 말이 먼저 떠올랐다. 가장 정의롭지 못한 정부와 대통령이 정의사회 구현을 외쳤으니, 정말 다시 생각해도 오금이 저린다. 무서워서가 아니라 기가 막혀서. 이명박 대통령과 전두환은 오늘 광화문을 함께 열었다. 나란히........... 정의사회와 공정한 사회가 함께. 

 

오늘 이명박 대통령이 말한 ‘공정한 사회’. 조갑제씨는 공정이라는 단어가 여러 뜻이 있는데 왜 한자표기로 그 뜻을 정확하게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공정(公正)은 공평하고 올바름을 뜻한다. 일의 진척이나 과정이라는 뜻의 공정(工程)도 있고 말라버린 우물을 뜻하는 공정(空井)도 있다. 조갑제씨의 딴죽은 별 의미가 머리에서 지워버리자. 그렇다면 공평하고 올바른 사회를 만드는 것은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

 

상행하효(上行下效).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라는 말이 있다. 조갑제씨 때문에 한자 좀 썼다. 이명박 정부와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앞에 정말 공명정대하게 정사를 펼쳤는가? 공정한 인사를 단행했는가? 묻고 싶다. 경찰총장으로 내정된 조현오씨의 패륜적 망언을 보라. 공정한 사회를 주창한들 윗선이 엉망인데, 그 말에 수긍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오늘 나온 ‘고정한 사회’. 뜻으로는 구구절절 옳다.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는 사회, 승자독식사회에서 패자부활전이 가능한 균등한 사회. 많은 사람들이 지향하고 있는 사회다.

 

그런데 바로 신뢰와 인간이 빠져있다. 사람에게 신뢰가 가지 않는데, 아무리 공정한 사회를 외친들, 사람들이 따라가겠는가. 전두환의 정의사회처럼 뜬금없다. 공정한 사회는 어느 한편에서 일방적으로 만들 수 없다. 국민의 신뢰를 얻은 다음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보자.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철저하게 만드는 사업이다. 이루는 사업이 아니다. 협치(거버넌스)의 정신이 빠져있다.

 

지금 한국 사회는 정의로움과 공정(公正)이 말라버린 공정(空井) 사회다. “광복절입니다.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당신의 조국은 지금 건재한가요.(이외수 트위터)” 오늘은 광복절, 조국이 건재하지 않은 이유다. 먼저 인간이 되라는 말이 있다. 인간됨에 기초하지 않은 현란한 수사는 끝내 들통 나고 외면 받기 마련이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