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카운트 인포(계좌관리). 1년 이상 입출금거래가 없는 잔고 50만원 이하 은행계좌를 인터넷에서 한꺼번에 조회해 잔액을 모두 활동계좌로 옮기고 곧바로 계좌를 해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여러 은행에 흩어진 본인 계좌를 한꺼번에 조회할 수 없었고 계좌를 해지하려면 반드시 은행 창구를 방문해야 했다. 잔고 50만원이 안 되는 비활동성 계좌는 1억개에 달해 전체 개인계좌의 절반이나 되지만 본인이 계좌를 개설한 사실조차 모른 경우가 많아 막대한 사회적인 비용이 발생했다.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2월부터 은행권 계좌통합관리서비스 '어카운트인포'를 단계적으로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에 개설된 개인계좌는 2억3000만개(잔고 609조원)로 이 가운데 1년 이상 입출금거래가 없는 비활동성 계좌는 1억개(44.7%, 1조20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잔고 '0원'인 상태가 1년 이상 된 계좌는 전체 개인계좌의 10분의 1(2700만개, 11.6%)을 차지한다. 성인 1인당 2.6개의 비활동성 계좌를 보유하고 있어 평균 36만원이 통장에서 잠자고 있는 셈이다. 비활동성 계좌가 계속 쌓이면서 사회적인 비용도 커졌다. 본인도 깜빡 잊은 계좌가 금융사기에 악용되거나 의도치 않게 착오송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은행에서도 계좌관리 비용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출해왔다. 이윤수 금융위원회 은행과장은 "국내 은행은 계좌유지수수료를 별도로 받지 않고 계좌를 해지하려면 창구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비활동계좌가 많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굳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어카운트인포 홈페이지(www.accountinfo.or.kr)'에서 본인 명의로 개설된 전 은행계좌를 조회할 수 있고, 이 중 소액 비활동성 계좌는 바로 잔고 이전하고 해지할 수 있게 된다. 본인면의 모든 계좌에 대해 계좌번호, 잔고, 만기일, 개설일 등 8가지 정보를 한 눈에 확인가능하고 이 중에서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비활동성 계좌는 잔고 전액을 거래가 있는 다른 계좌로 옮긴 뒤 곧바로 해지할 수 있게 된다.
잔고 이전은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오는 12월에는 30만원 이하 계좌가 대상이고 내년 3월부터는 50만원 이하 계좌로 확대 시행된다. 또 내년 3월부터는 인터넷 뿐 아니라 은행 창구에서도 비활동성계좌를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다. 단 타행계좌는 조회만 가능하고 해지는 안 된다. 은행들은 9월 이후 약관을 개정해 1년 이상 잔고가 '0원'인 계좌는 고객의 동의 없이도 은행 스스로 계좌를 자동해지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윤수 과장은 "성인 1인당 평균 36만원에 달하는 비활동성계좌에 대한 회수와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은행도 전체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비활동성 계좌를 정리하면 전산시스템 운영 효율성이 증대되고 계좌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러글라이딩, 60대 남성이 추락한 이유? (0) | 2016.07.03 |
---|---|
용인버스차고지화재, 불의 시대는 아니겠지? (0) | 2016.07.03 |
서울시 타타타,가수 김국환 노래 타타타가 아니라? (0) | 2016.07.03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천장이 무너져 SNS로 공개? (0) | 2016.07.03 |
공시족, 청년층 취업준비생이 가야할 길? (0) | 2016.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