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영어마을,애물단지 10년 만에 문을 닫는 이유는?

by 밥이야기 2016. 7. 2.
728x90


영어마을 이야기. 한 때의 이벤트로 끝나는걸까? 경기도가 990억을 들여 지은 국내 최대 규모의 파주 영어마을. 어디 그뿐이겠는가? 한 때 학생들로 가득했었는데 이용인원이 점점 줄면서 결국 10년 만에 간판을 내리기로 했다. 도로 공화국도 떠오른다? 전국 지자체들이 유행처럼 지은 영어마을, 지금 어떤 모습일까? MBC 보도에 따르면, 1만 제곱미터, 넓은 대지에 들어선 이국적인 건물. 군포시가 약 470억 원을 들여 지은 영어마을. 그런데 입구엔 잡풀이 무성하고, 원어민 교사 숙소 앞엔 쓰레기가 널려 있다. 7년 전 문을 열 때만 해도 전자 칠판 같은 첨단 장비를 이용한 수업이 인기를 끌어, 한 해 이용 학생이 2만 6천 명에 이를 정도였다. 하지만, 일반 영어학원과 별다를 게 없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학생 수가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한 학부모는 "수업의 질이라든가 아이들 관리가 진짜 학원에서 해야 되는 것만큼 전혀 되지 않았었어요. 많이 떨어지죠." 운영 업체는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결국 지난해 문을 닫았다. 군포시는 애물단지가 된 영어마을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5천만 원을 들여 연구 용역까지 벌였다. 군포시 관계자는 "(영어마을 건물에) 평생교육에 대한 것, 그런 것을 진행을 할 거고, 책 테마관 이런 것도 이제 조성을 할 거고..." 대전 동구에서 8년 전 지은 또 다른 영어마을. 땅값과 건축비는 물론 운영비까지 지원해 구 예산 1백억 원이 넘게 들었지만, 1년 반 째 문을 닫은 상태로 방치돼 있다. 원어민 교사가 성관계 동영상을 인터넷에 유포하는 등 교사 관리가 안 된데다 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으로 영어 교육이 실시된 뒤부터 차별점이 없어진 것이다. 위탁 운영하던 업체와 계약이 끝난 후 3차례나 공모를 했지만, 나서는 곳이 없다. 대전 동구청 관계자는 "운영비를 구에서 지급을 안 하면서, 수지타산이 안 맞으니까 들어오시려고 하는 분들이 잘 없었어요." 서울시가 운영하는 영어마을 3곳도 수십억 원의 적자를 면치 못하면서, 다른 길을 찾느라 고심 중이다. 영어마을 입구에 설치했던 출국심사대를 없애고, 요리하며 영어를 배우던 교실에선 이제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창의수업을 받고 있다. 영어마을에서 정작 영어를 없앤 것. 제갈용 서울영어마을 풍납캠프 실장은 "영어 학원들이랄지 기타 다른 기관들을 통해서 외국인을 만나 접촉하는 게 훨씬 쉬워졌죠. 그렇게 이미 시대가 변해버린 거죠." 지난 2004년 경기도 안산에 첫 영어마을이 생긴 후, 전국에 영어마을이 36곳이나 경쟁적으로 들어섰지만 현재 8곳이 문을 닫았고 남아있는 영어마을 상당수도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안민석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의원은 "무분별한 영어마을의 설립 운영으로 국민들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습니다. 교육부와 지자체가 협력해서 전국적인 실태조사를 (해야 합니다.)" 영어 교육 열풍과 된다 싶은 사업에 올인한 지자체들, 그 결합이 남긴 거대한 건물들이 불과 10년 만에 세금 먹는 난감함으로 다가오고 있다. 근원지는 누구일까? 국민들은 잘 알 것이다. 테마공원 현실도 궁금하다. 한 때 일본도 그럴 때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