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재수없게 몰락했다? 친박과 비박 논란으로 국민들은 투표로 답했다. 그 결과로 여소야대. 결국 김무성 전 대표는 잠적했다. 그런데 김 전 대표는 최근 공개 행보를 재개했다. 살아남기 위해서? 특히 영남권의 최대 이슈였던 신공항 문제가 김 전 대표가 오래 전부터 일관되게 주장해오던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나면서 김 전 대표가 정치적 부담을 크게 덜었다. 당 안팎에서는 유력 대선주자가 없는 현 당 상황 속에서 총선 이후 위축됐던 리더십과 전열을 정비하고 대선가도 발판을 닦는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별한 직도 없는 데다 정치적으로 김 전 대표를 옥죄는 현안도 더이상 없는 셈이라 그가 당내 세력 개편 과정 속에서 세를 확장해나갈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김 전 대표는 22일 최측근인 김학용 의원이 주도하는 국회 '대한민국 미래혁신포럼' 창립총회에 참석했다. 이 포럼은 김 의원을 비롯해 이군현·강석호·김성태 의원 등 이른바 '김무성 사단' 의원들이 주축이 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이 포럼이 김 전 대표의 대선 준비를 위한 '진지'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으나 김 전 대표와 측근들은 손사래를 친다. 김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포럼 총회에 참석했지만 축사도 한사코 거절했다. 행사 후에는 "그런 해석은 언론의 시각일 뿐 국가 미래 혁신을 위한 연구 공부 모임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했고 대선 출마와 관련해선 "그런 말은 하지 말자"고 말을 아꼈다. 김 전 대표는 총회 참석 전에는 20대 국회 상임위원회로 선택한 외교통일위 첫 회의에 참석했다. 밝은 모습으로 여야 의원들과 인사하는가 하면 관련 자료를 꼼꼼히 훑어보는 '열공'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외부 활동 재개에 쏠리는 관심들을 의식했는지 외통위 회의에서도 "김무성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라는 짤막한 인사말만 했다. 총선 전 자신을 향한 원색적 욕설을 했던 윤상현 의원과도 밝게 악수 인사를 했다. 김 전 대표의 최근 행보는 다가오는 전당대회, 이후 대선과 연결돼 있다는 것이 당내 중론이다. 여기엔 '비박 투톱'이라 불렸던 유승민 의원의 복당을 계기로 한 비박계의 세 결집 분위기와도 맞물려 있다. 특히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오세훈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 여당 대선주자군 인사들이 최근 활발한 활동을 벌이며 사실상 차기 대선레이스가 시작됐다. 때문에 김 전 대표로서도 언제까지 '총선 참패, 사퇴 당대표'라는 낙인을 가진 채 물밑 행보를 벌일 수만은 없었다는 것이 측근들의 전언이다.
김 전 대표도 총선 직후와는 확연한 온도차를 내보인다. 총선 직후에는 그저 침묵으로 일관했다면, 최근에는 정치권을 강타하는 영남권 신공항, 개헌론 등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할 말은 한다"는 기조로 풀이된다. 특히 영남권 신공항 입지 논란 과정에서 김 전 대표는 일절 언급을 삼갔으나, 전날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을 내자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고 "최적의 방안을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전날 의원회관에서 신공항 관련 정부 발표를 생중계로 지켜보고는 "김해공항 확장이 내가 16년 전부터 주장해오던 안"이라며 안도했다고 한다. 만약 신공항 부지가 밀양으로 결정됐다면, 김 전 대표의 소신과는 무관하게 부산이 지역구이면서 대선주자군인 그가 큰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김해공항 확장으로 김 전 대표로서는 정치적 부담을 덜고 정치권 무대에 전면 복귀할 디딤돌을 갖게 됐다. 여야 정치권을 달구는 개헌론도 김 전 대표로서는 '호기'다. 김 전 대표는 최근 공·사석에서 "현 체제는 이미 수명을 다했다"며 분권형 개헌이 필요하다는 뜻을 적극적으로 역설하고 있다. 대표였을 당시 이른바 '상하이 개헌 발언'으로 박 대통령에게 공개 사과한 뒤 개헌에 대해 스스로 자물쇠를 걸었던 그가 "난 원래 개헌론자인데 이제 숨길 생각이 없다"며 스스로 빗장을 푼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정치권에서는 김 전 대표가 여야 내부에서 공히 요구가 큰 개헌론과 관련해 모종의 중추적 역할을 하면서 대선주자로서의 주가 반등을 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김 전 대표는 총선 참패 이후 개헌을 비롯해 경제, 사회 문제에 부쩍 학구열을 불태우고 있다고 전해진다. 대선주자들의 코스라고 불리는 외통위를 선택한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가깝게는 8·9 전당대회에서 김 전 대표가 어떤 역할을 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현재 비박계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정병국 의원과 비박계 최고위원 후보들을 김 전 대표가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복당한 유승민 의원과도 전당대회에서 '연합전선'을 형성하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나온다. 대선주자들이 레이스 시작 전 의례적으로 거친다는 선친 묘 이장도 최근 완료했고, 강북권 이사도 계속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은 강북에서 난다"는 속설과 맞물린 정치적 해석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지점이다. 한편 지난 4·13 총선을 앞두고 ‘막말 논란’에 휩싸였던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과 김 전 대표가 22일 외교통일위원회에서 만났다고 한다. 이날 오전 열린 외통위 전체회의를 위해 회의장을 찾은 김 전 대표를 향해 윤 의원이 “환영한다”고 먼저 인사를 건네자 김 전 대표가 “여기 주인이냐”고 농담을 던졌다. 이에 윤 의원이 “제가 외통위 붙박이다”라고 답했다. 윤 의원은 지난 총선 직전 김무성 당시 당 대표에 대한 ‘막말 논란’이 불거지면서 공천에 탈락,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후 최근 복당했다.
'정치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 도발 응징, 뜻대로 생각대로 잘될까? (0) | 2016.06.24 |
---|---|
대통령 중임제,국회의원 135명이 선택한 이유? (0) | 2016.06.23 |
대구 매일신문,신공항 백지화 백면으로 대응? (0) | 2016.06.22 |
전관예우, 정운호 법조 게이트, 끝까지 밝혀내야 한다? (0) | 2016.06.21 |
브렉시트 여론조사,조 콕스 의원 투표 앞두고 숨져?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