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통도시6

< 세상과 통하지 않고, 벽에 막힌 자살, 사망학이 필요하다? > 내일(9월 10일)은 ‘세계 자살예방의 날’이다. 일주일 전부터 ‘자살률공화국’에 대한 글을 썼다. 하지만 그런들 무엇하리요? 그렇지만 세상과 통해야 한다. 누구나, 모두를 위해 다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캠페인도 좋지만, 자살 방지를 위한 수단과 방법을 다해서, 집중해야 한다. 일상화가 되어야 한다. 올해 ‘제12회 EBS국제다큐영화제’의 전체 컨셉 타이틀은 . 세상과 통한다는 것은 파편화된 일상을 공동체로 복원해야 한다는 뜻이다. 나와 타인의 삶과 소통해야한다. 점점 고립화되는 삶은 비극적인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우리 스스로 11년 동안 자살률(OECD 통계) 1위라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타인의 삶만 바라보지 .. 2015. 9. 9.
소통은 상식일까, 언어의 배신일까? 소통은 상식일까, 언어의 배신일까? 글/밥이야기 ​ ​ ​소통의 광장(물질공간과 사이버광장)에는 작위적인 소통의 방식이 흘러넘치고, 시민들은 먹통사회라고 외친다. 소수와 소수, 소수와 다수, 다수와 다수가 소통되지 않는 현실을 살펴보고 인식해야 한다. 인터넷 공간에 떠도는 불평등, 불만, 불통, 즉 3불(三不)시대는 어떠한가? 이것은 정치·경제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이 세 가지는 이름만 다를 뿐이지, 본질은 하나다. 따라서 불통만 해결되어도 나머지 둘은 절로 해결된다. 개인과 개인, 단체와 단체, 공동체와 공동체,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 소기업과 대기업, 개인과 정부, 정당과 정부 모두가 불통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말의 권력과 말의 전쟁은 계속되고 있을 뿐이다. 첨단 디지털 매체로 인.. 2015. 9. 9.
소통을 묻다 서울이라는 도시는 압축성장을 거쳐 변신을 추구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건물과 도로, 이동공간은 제멋대로 퍼져나간 스프 롤(Sprawl) 현상을 거쳤다. 이제 생각을 바꿀 때다. “도시는 지난 30 년 동안 빠른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신도시와 구도심의 단절, 고성 장형 개발로 빚어진 새로운 갈등과 분열문제를 드러냈다.” ​ 여기서의 도시는 서울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중국 도 시 이야기다. 장디페이(蔣滌非)는 중국과 한국의 도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한다. 농업시대는 무너졌고, 도시의 동네 골목과 작은 가 게, 책방과 같이 마을을 대표하는 단어는 사라졌다. 마음 편한 대화도 많이 사라졌다. 이러한 단어는 기억 저편에 있을 뿐이다. 추억은 책상서랍 구석 어딘가에 닫혀 있다. 이웃과 동네방네 이야기.. 2015. 9. 5.
누가 소통을 죽이는가? ​ 『누가 책을 죽이는가』일본을 대표하는 논픽션 작가 ‘사노 신이치’의 책이다. 디지털시대가 확장되면서 오프라인 책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소통”이란 말은 무성한데 소통은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수다시대”엔 소통이 잘 될까? 역사를 살펴보면 책 때문에 죽은 사람들이 한 둘이 아니다. 금서를 통해 죽어간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80년대 베스트셀러였다. 숀 코네리를 주연으로 한 영화도 화제를 모았다. 책과 죽음을 축으로 한 또 다른 영화가 있다. 책을 소재로 만들어진 영화를 꼽으라면 조니뎁이 출연한 와 이다. 책을 쓰기 위해, 또 책을 구하기 위해 살인이 이어지는 내용이다. 최근 영화로는 이 있다. 이 영화는 미래판 미디어 검열과 분서갱유를 그렸다. 『책도둑』도 빼놓.. 2015.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