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복. 잊겠는가? 잊을 수 있다. 하지만 잊지 말이야 한다. 역사는 사라지지 않는다. ‘반공소년 이승복’, 1968년 무장공비에 의해 살해된 아홉 살 어린이가 바로 이승복 이다. 반세기가 지났다. 누가 기억할까? 정권 차원의 반공교육에 활용돼다 교과서에서 사라진 지 19년, 아이들은 이승복을 유명한 작가나 도시락 폭탄을 던진 누군가로 생각하며 그 앞을 지나친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동상을 겹겹이 감싸고 있던 반공의 이데올로기는 오래된 페인트 칠 마냥 벗겨졌고 차가운 시멘트 몸뚱어리만 낙오된 역사의 잔재로 남았다. 시골 폐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공소년 이승복’ 동상이 아직 일선 학교에 남아 있다고 한다. 한국일보는 인천 강화군을 포함한 경기 북부 10개 시군 18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승복 동상이 있는 곳이 26개교에 달했다. 1970~80년대 동상 건립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면 전국 수백 개 학교에 이승복 동상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매일 동상을 바라보는 학생들조차 이승복이 어떤 인물인지 알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이승복 동상이 남아 있는 5개 학교의 고학년 학생 120명을 면접 조사해 보니 ‘반공소년 이승복’을 알고 있는 학생은 단 4명에 불과했다. 모른다고 대답한 116명 중에는 “우리 학교 졸업생”이라거나 “몇 학년 몇 반인데요? 혹시 이승복 아버님이세요?”라고 되묻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의 주인이라는 학생들조차 그 의미를 모르는 동상이 교실 앞에 세워져 있는 기이한 현상이 일상처럼 이어지고 있다. 반공 이데올로기의 일방적 주입을 당연시 했던 시절, 참혹한 비극의 희생자 이승복은 수많은 초등학교에서 시멘트 조형물로 재생산 됐다. 1990년대 들어 반공교육이 민족공동체를 강조하는 통일안보교육으로 전환되면서 교과서 속 분량이 크게 줄었고 1997년부터는 완전히 사라졌다.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이승복 동상이 있는 5개 초등학교의 고학년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이승복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던졌다. “모른다”라고 대답한 학생은 116명...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크리오 싱크홀,송파구 주변 불안한 땅꺼짐 (0) | 2016.07.06 |
---|---|
이장석, 넥센 히어로즈 구단주가 수사 중인 이유? (0) | 2016.07.06 |
운암동 화재, 고양이 냄새를 지우기 위해 향초때문에? (0) | 2016.07.06 |
황강댐 방류,북한이 무단 방류했을까? (0) | 2016.07.06 |
송파구 땅꺼짐, 줄 잇는 땅꺼짐 늘 걱정이다? (0) | 2016.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