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족. 언어가 난발하는 시대 별의별 명칭이 많다. 청년층 취업준비생의 절반 이상이 공무원시험 등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이른바 '공시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정규직 취업자는 대부분 직장 생활을 이어가지만, 중소기업 비정규직은 2년 내 회사를 그만두는 비중이 무려 절반에 육박했다.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층 취업준비자 현황과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4년 41만명이었던 청년층 취업준비생은 지난해 54만2천명으로 급증해 2008년 금융위기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청년층 취업준비생은 청년 고용사정이 다소 개선되는 시기에는 감소하고, 고용사정이 좋지 않은 시기에는 급증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다.이는 지난해 국내외 경기 악화로 청년 구직자가 급증했다는 뜻이다. 특히 20∼24세 청년층 취업준비자 중 시험준비를 하고 있거나 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47.9%, 25∼29세에서는 53.9%에 달했다. 준비하는 시험의 종류로는 '9급 공무원시험이'이 45.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교원 임용시험'(14.8%), '회계사 등 전문자격시험'(12.0%), '7급 공무원시험'(11.8%), '기타 공무원 시험'(4.6%)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공시족의 급증은 취업의 어려움과 더불어 취업 후에도 불안정한 고용 구조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대졸청년층의 첫 직장 진입 및 이탈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대졸자 만8천여 명(20∼34세)의 직업이동경로조사를 한 결과, 2014년 대졸 청년층의 72.1%가 첫 직장 취업에 성공했다. 전체 대졸자 중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한 사람은 10.4%에 불과했고 34.3%는 중소기업 정규직, 21.2%는 중소기업 비정규직, 6.1%는 대기업 비정규직으로 취업했다. 대기업 정규직의 첫 직장 퇴사율은 12.3%에 불과했지만, 중소기업 정규직은 27.9%, 대기업 비정규직은 29.3%였다.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퇴사율은 무려 40.8%에 달했다. 이들은 대부분 입사 2년 내 퇴사했다. 대기업 정규직 취업자의 31.0%,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24.8%는 퇴사 이유로 '보다 나은 직장으로의 전직을 위해'를 꼽은 반면 대기업 비정규직의 47.1%,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24.6%는 '계약기간이 끝나서'라고 답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하영 연구원은 "대졸 청년층의 비자발적 퇴사는 재취업을 위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고, 실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대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안착할 수 있는 노동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시족을 떠난 취업은 여전히 바늘 구멍에 낙타가 통과해야 갈 길은? 청년 실업은 화두일 뿐이다?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타타타,가수 김국환 노래 타타타가 아니라? (0) | 2016.07.03 |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천장이 무너져 SNS로 공개? (0) | 2016.07.03 |
신대양제지 화재,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는 상황? (0) | 2016.07.03 |
작은 결혼식,소풍결혼식,아름다운 이유는 무엇일까? (0) | 2016.07.03 |
버스 화재, 단순사고 어처구니없는 인명피해? (0) | 2016.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