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다단. 어떻게 보면 단순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솔직하면 된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24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정작 저작권을 위반한 사람은 조수라는 분입니다. 자기가 그린 작품에 조영남 사인을 넣어 속여서 팔았으니까요. 그건 사기죄가 성립할 겁니다"라고 말했다. 너 멋대로? 일방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다. 쌍방향 아닐까?
그는 "'아이디어는 조영남이 줬지만, 실행은 내가 했다. 고로 저작권은 내게 있다.' 이렇게 얘기할 수는 없는 거죠"라고 했다. 진 교수는 "타블로로 화투를 그린다는 발상 자체가 조영남의 것이고, 그 생각을 미술계에 관철시켜 작품으로 인정 받은 것이 조영남이고, 이렇게 저렇게 그려달라고 주시한 것이 조영남이고, 거기에 최종적으로 사인을 한 것이 조영남이라면, 작가는 조영남입니다"이라고 했다. 맞는 말이지만 속내는 모른다. 그는 "전체 실행의 몇 퍼센트를 누가 담당했느냐.... 이건 논리적으로 의미 없는 소리에 불과합니다. 구두로 지시하는 것 외에 아무 것도 안 하고, 제작된 상태를 보고 자신의 작품으로 추인하여 거기에 사인만 했더라도, 그것은 조영남의 작품입니다"라고 했다. 조용남의 작품이지만 작품 자체를 의도하거나 유인하지 않고 식상한 작품을 대작하는 것은 열정과 의지는 없었고, 오락적 작품아닌가? 진 교수는 "대리작가 왈, 내 그림과 조영남이 그림을 비교하며 누가 더 잘 그렸는지 평가를 받아보자고 하는데..... 그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겁니다"라며 "컨셉이 자기 것이 아닌 이상, 그림을 잘 그린다는 그 역시도 작품을 팔 때는 조영남 이름 팔아야 했잖아요"라고 했다.그는 "아무리 얘기해도 못 알아들으니.... 그리고 아무리 현대라 하더라도, 마치 지난 100년간 미술계에서 아무 일도 없었던 듯이, 그렇게 작업하는 작가들도 있습니다"라며 "그들의 관념이 낡앗다고 보지만, 그건 그들의 예술관이니 그냥 존중해 드리면 됩니다"라고 했다. 진 교수는 "다만, 온갖 아우라로 가득 찬 형용사들 남발해가며 자기의 예술만이 진정한 예술이며, 그 관념에 따르지 않는 것은 진정한 예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그건 좀 봐 드리기 거시기하죠"라고 했다.
그는 "조영남의 작품이 미학적으로 대단한 가치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의 작품을 씹는 작가들이라고 뭐 대단한 작품을 만드는 건 아닙니다. '조영남'이라고 하면 '화투'라도 떠오르죠"라고 했다. 화투 인생처럼 살지 마시길..미술계만 알 뿐 일반 시민들은 잘 모를 수 있다. 야 화투로 그림그리구나? 자극 이벤트일 뿐이지, 작품다운 작품일까? 팔아 먹으려고? 미술계수준이다. 미학은 커녕 장난질 아닌가? 대작이 나온 이유다? 기획인가? 사기 작품에 가깝다? 조영남과 송기창 화백의 관계를 미술계에서 일반적으로 이뤄지는 관행으로 볼 수 있는지, 송기창 화백의 그림을 조영남의 그림으로 알고 비싸게 구매한 이들을 속인 것 아닌지에 대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이 부딪쳤습니다. 리얼미터의 여론조사를 통해 일반 국민 70% 이상이 사기라고 판단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여론조사를 신뢰하지 않지만 생각해보시길?
중요한 것은 미술계에서 종사하는 미술인의 삶은 어떠한가? 미술도 학연 권위가 여전하지 않는가? 한국 현대 미술 현주소는 정상일까?
조영남은 28일 오후 3시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2016 쎄시봉 친구들 콘서트' 무대에 올랐다.앞서 조영남은 대작 논란에 휘말린 이후 고정출연 중이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잠정 하차했으며, 예정되어 있던 개인 전시회와 공연을 잇달아 취소했다. 또한 소속사 관계자가 한 방송에서 "조영남이 충격으로 말도 못하는 상황이다. 정신이 멍해 있다"고 밝히면서 그가 공연을 정상적으로 소화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렸다. 공연은 정상적으로 열렸다. 이날 조영남은 쎄시봉 멤버 윤형주, 김세환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관객을 향해 90도로 인사를 건넨 뒤 한동안 노래를 부르지 않고 무대 곳곳을 맴돌다 이내 노래를 따라 불렀다. 윤형주는 오프닝 무대를 마친 이후 "환불하지 않고 공연장에 와 주신 분들에게 감사하다. 평생 잊지 않겠다"며 "밝은 마음은 아니지만, 최고의 공연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개정안, 정부는 모순의 해법은 불가능할까? (0) | 2016.05.30 |
---|---|
안전회계법인, 2위가 흔들거리는 이유? (0) | 2016.05.30 |
수락산 등산객 피살, 60대 여성 불안 시회일까? (0) | 2016.05.30 |
우주 활동공간, 우주 호텔 얼마나 좋을까? (0) | 2016.05.29 |
파키스탄 아내 체벌, 나쁜 페미니스트가 되시길? (0) | 2016.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