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길은 가면 갈수록 멀어보인다. 한국 사회가 불안정, 불평등 하지만 편차를 줄여 나가야 한다.물론 쉽지 않다. 부를 지배하는 사람들이 변하고, 부자세와 누진세를 통해 소득 분배에 대한 인식을 시나브로 전환해야 한다. 한국 뿐만 아니라 청년 실업과 평가와 경쟁이 깔려있다. 청년 임금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최소 월평균 213만원의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정시 퇴근과 주 5일 근무, 출퇴근이 편한 직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청년층이 취업 후 희망하는 최소한의 월 평균 임금(유보임금)은 2010년 178만6000원에서 2014년 212만7000원으로 34만1000원 증가했다. 매년 4.5%씩 증가한 셈이다. 이번 조사는 2010∼2014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7~11차(2010년~2014년) 한국교육고용패널 5개년도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조사 대상은 1차 조사가 이루어진 2004년 당시 일반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이며, 이 중 7차 ~11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1735명을 분석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유보임금은 189만7000원에서 239만3000원으로 연평균 6% 증가한 반면 여성은 165만7000원에서 181만6000원으로 연평균 2.3% 올랐다. 청년층은 임금 외에 근로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 5일 근무제 일자리를 선호하는 비율은 2012년 41.4%에서 2014년 60.8%로 지난 5년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근무시간 준수는 61.4%에서 71.0%, 직장 소재지와 관련한 항목 중 통근이 수월한 직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57.1%에서 67.0%로 뛰었다. 반면 수도권, 서울 강남권, 도시권 직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29.9%에서 26.3%로 소폭 하락했다. 남성은 여성보다 공무원·대기업·공기업 등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고임금 정규직 일자리를 선호했다. 여성은 근무시간과 주 5일 근무제가 지켜지고 통근이 수월해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오호영 선임연구위원은 “전통적으로 정규직, 대기업 등이 청년층의 중요한 취업 선호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근무시간 준수, 주 5일 근무제, 통근 용이성 등을 중시하는 청년층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함으로써 청년층 유입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9혁명 기념식, 가치 정신은 여전히 잊고 있을까? (0) | 2016.04.19 |
---|---|
옥시 가습기 살균제, 롯데마트가 사과한 이유? (0) | 2016.04.19 |
에콰도르 강진, 희생자는 벌써 270명,한국 지원은? (0) | 2016.04.19 |
오이타현 지진, 시진핑 희생자에게 깊은 애도를.. (0) | 2016.04.19 |
민방위 훈련조회, 홈피 접속 폭주? (0)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