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왜 그녀는 꽃다운 나이,한강에 삶을 투척했나?

by 밥이야기 2010. 8. 3.
728x90

 

 

비와 땡볕이 번갈아 아스팔트를 식히고 달구기를 반복하고 있다. 삶의 현기증 때문일까. 8월 1일과 2일 사이, 자살 소식이 연이어 들린다. 7월 31일 오후 5시 40분 쯤 대구지법 모판사가 자신이 살고 있는 아파트 옥상에서 삶의 끈을 끊었다. 다음 날 4시 반쯤 서울 논현동 원룸에서 26살 김 모 씨가 목을 매 자살했다. 사채 빛 때문이라 한다. 이번 지방 선거에 낙선한 전 구로구 의원도 선거 결과에 낙담, 자살했다.

 

이런 자살, 저런 자살. 가슴 아프다. 오죽하면 목숨을 끊었을까. 엊그제는 열아홉 살이라고 아로 새겨진 주민등록증(생년월일 1991년X월X일, 박XX 주민번호 XXXXXX-2XXXXXX) 밖에 없는 한 여자가 꽃을 피워 보지 못하고 한강물에 낙하했다. 언론(국민일보)에 따르면 그녀는 한 페밀리 레스토랑에서 일했다고 한다. 삶의 둥지는 고시원. 부모가 이혼해서 조부모와 함께 생활했다고 한다. 그녀는 한강에 삶을 투척하기 전에 레스토랑 동료에게 휴대폰 메시지를 보냈다. "고시원비도 밀리고 해서 너무 힘들다" 그 다음 날 그녀는 출근하지 않았다. 그 다음 날 그녀는 한강 난간에 섰다.

 

한국은 자랑스럽게도 OECD 가입국 중에 자살률 1위다. 한여름에 소름 돋는다. 불명예다. 경제성장률이 높으면 뭐하나, 국가의 품격은 자살률이 높으면 올라가는가. 보건복지가족부와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면 20대와 30대의 사망원인 중 자살은 각각 40.7%, 28.7%다. 자살의 이유는 여러 가지다. 하지만, 빈곤 자살은 너무나 슬픈 일 아닌가. 좀처럼 탈출하기 힘든 감옥 같은 삶. 그녀는 가정형편으로 고등학교만 다녔다. 페밀리 레스토랑에서 여유 있게 식사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한 달 급여 80만원 고시원 월세 27만원.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은 한 시민단체에서 기획한 빈곤체험(최저 생계비로 한 달 나기) 참여 이후, 하루 6,300원으로 황제 같은 삶을 살았다고 말했다. 차명진 의원은 워킹푸어(근로빈곤층)나 빈곤에 대한 인식자체가 부족했다. 하루의 생활로 빈곤의 상황을 블랙코메디로 만들어 버렸다. 일을 해도, 가난의 늪에서 빠져 나올 수 없는 현실을 희극화 시켜버린 정치인들이 있기에 그녀의 자살은 더 슬프다.

 

상생이란 무엇일까. 공존이란 무엇일까. 서민경제란 또 무엇인가. 한국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척박한 삶을 살고 있다. 겉모습은 다들 행복해 보인다. 왜곡된 현실이 불러 넣은 착시현상 때문이다. 가난의 대물림. 이제는 자살의 대물림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것 같다. 진보건 보수건 빈곤이나, 언어의 폭력으로 인해 자살하는 사람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그녀의 시신은 이미 한강 저 끝 모를 밑바닥 정처 없이 부유하고 있을 것이다. 내일이면 우리는 그녀의 자살을 잊을 것이고, 또 다른 자살에 놀라, 슬픔을 보태고 지우기를 반복할 것이다.

 

자살의 이유를 우울증이나, 개인의 정신 상태로 치부하기에는 그 골이 너무 넓고 깊다. 성장의 그늘이 드리워낸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지 않는다면, 국가의 품격은 요원하다. OECD 경제 지표보다, 자살률 꼴찌 행복지수 1위가 더 낫지 않을까. 그녀의 죽음은 나의 동생, 친구, 동료의 죽음이라고 인식해야 한다. 분노해야 한다. 더 슬퍼해야 한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