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민주항쟁3 6.10 민주항쟁 때는 휴대폰이 없었다 1987년 6월 10일. 24년 전 독재타도 민주쟁취, 호헌 철폐를 외치며 학생들과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그 때는 봄 기운 가득했지만, 요즘 6월 10일은 여름이다. 격세지감일까? 그 당시에는 인터넷도 없었고, 요즘 흔해빠진 휴대폰도 없었다. 4대 매체(신문,방송,라디오,잡지)를 통해 세상 소식을 들었다. 공중전화기앞에서 줄어서서 기다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모였다. 만약 그당시 인터넷과 휴대폰,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도입되어 있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그 무엇이 사람들을 삼삼오오 모이게 했고, 체류탄에 맞서 싸우게 만들었던 걸까? 목마름과 기다림. 한 번 시위 대열에 나서면 하루가 쉽게 갔다. 누가 부르지도 않았는데 또 다시 거리로 나섰다. 마음이 '통'했다. 6.10 항쟁을 떠올.. 2011. 6. 10. 서울광장이 6월광장이 되어야 하는 이유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참여 지식인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촛불시위가 한참 일 때 "독재자들을 몰아내고 민주주의를 세우기 위한 한국인의 투쟁이 세계에 영감을 주었으나, 항상 자유를 두려워하고 생각과 표현을 다시 통제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명박 정부를 간접적으로 비판했습니다. 1987년 6.10 민주항쟁은 독재자를 몰아내고 이 땅에 민주주의를 꽃피우기에 막힌 광장을 연 날입니다. 우리들은 왜 오늘 서울광장을 6월 광장으로 만들어야 합니까. 첫 번째는 이명박 정권을 중간 심판하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수많은 민주열사들이 희생 속에서 이루어 낸 민주주의를 하루아침에 후퇴시켰습니다. 무리한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 수입 파동으로 불거진 촛불 시위를 지켜보았.. 2009. 6. 10. 87년 6월 10일 조선일보와 김동길 - 87년 6월 10일 김동길은 말했다 오늘은 6.10 민주항쟁 22돌 맞는 날이자, 야당,시민단체,종교단체, 학생과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추모와 현 정권의 민주주의 후퇴, 불통정치를 준엄하게 묻는 날입니다. 하지만 서울시와 정부는 서울광장 집회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개방하지 않겠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습니다. 1987년 6.10민주항쟁은 1987년 2월 서울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점화되어 호헌철폐(장기 군사집권 반대)와 한국의 민주주의를 꽃 피우기 위해 수 많은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습니다. 당시 민정당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으로부터 6.29 선언을 이끌어 내게 됩니다. 2009년 6월 10일. 먹구름 가득한 하늘. 6.10민주항쟁으로 숨져간 민주열사들의 죽음을 다시.. 2009. 6.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