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가 떠오른다? 충북 괴산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산막이 옛길’에 조성된 호랑이 굴에 임각수 괴산군수의 사연이 소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하지만 충북 괴산군이 지역 대표 관광지에 현직 군수의 공을 지나치게 과장한 문구를 내걸어 눈총을 받고 있다. 연간 150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괴산 칠성면 산막이옛길내 ‘호랑이 굴’ 안내판 얘기다. 괴산군은 지난 3월 호랑이 굴에 임 군수의 자서전에 실린 내용을 바탕으로 안내판을 설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안내판에는 ‘산막이 옛길을 만든 임각수 군수가 청년 시절 창을 들고 사냥하러 다녔던 곳’이라고 적혀 있다. 임 군수는 2014년 2월에 발간된 자서전 '산막이 옛길에 서서'를 통해 “1968년 실제로 호랑이가 살던 흔적을 확인했다. 창을 짧게 쥐고 언제 덤벼들지 모르는 호랑이의 습격에 대비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이 안내판을 본 일부 관광객은 “군수의 사적인 사연을 소개한 안내판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산막이 옛길을 조성한 임 군수와 관련된 사연을 소개한 것”이라며 “산막이 옛길을 찾는 관광객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1에 따르면, 산막이 옛길은 칠성면 외사리 사오랑마을에서 산골 오지인 산막이 마을까지 이어진 십 리 길을 말한다. 구불구불한 산길은 1957년에 괴산댐이 만들어지면서 대부분 물에 잠겨 없어지고 일부만 남아 있었다. 산막이는 산의 마지막, 산이 막혔다는 뜻이다. 군은 호수 가장자리에 데크를 설치해 4㎞의 벼랑길을 그대로 복원했다. 산책 코스에는 1968년까지 호랑이가 살았다는 ‘호랑이굴’과 여우비나 여름 무더위를 피해 잠시 쉬어간 ‘여우비 바위굴' 등 26곳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2011년 정식 개장한 산막이 옛길은 첫해 88만명이 다녀가는 등 연간 150만명의 방문객이 찾는 전국의 대표 명품길로 자리 잡았다. 한편 화암서원은 괴산지역 유림들에 의해 이전됐고 전체 5억여원의 예산 가운데 2억5000만원을 군에서 지원됐다. 이런 논리라면 전국의 도로와 시설물 모두 시장, 군수들이 만든 게 되는 셈이어서 누리꾼들의 집중 포화를 받고 있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도마 위에 오른 두 군수 모두 법의 심판을 받았거나, 옥고를 치르고 있다. 임 군수는 2014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외식업체로부터 1억원의 뇌물을 받는 혐의로 지난 5월 항소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 받고 법정 구속됐다. 현재 충주구치소에 수감중이다.
김 전 군수도 재직 시절 그의 부인이 부하 직원에게 인사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을 받았다.
pine@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장석, 넥센 히어로 대표 사기 횡령 기각? (0) | 2016.08.17 |
---|---|
경기도 광주 화재, 소방서까지 동원령을 내려? (0) | 2016.08.16 |
힘센엔진, 짝뚱 복제 모방 사회 힘없는엔진? (0) | 2016.08.16 |
잠수정 폭발,912부대,사고 1명 숨지고 실종? (0) | 2016.08.16 |
우레탄 마사토, 트랙 우선 교체하는 이유? (0) | 2016.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