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OECD 경제성장률, 보고서를 위한 보고서일까?

by 밥이야기 2016. 5. 17.
728x9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거시경제 동향과 정책, 구조개혁, 노동시장 등을 분석한 한국경제보고서를 발표했다. OECD2년 주기로 발표하는 이 보고서에는 회원국의 경제동향·정책 등을 분석·평가한 내용과 정책권고 사항이 들어있다. 관례적인 보고서이지만, 한국 정부는 생각해야 한다. 생각을 넘어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한다. 일시적 성장 효과는 찰나일 뿐이다. 저성장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환이 우선이다. 사고방식과 체제를 혁신하지 않으면, 성장을 위한 저성장 풍선만 날릴 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성과 없는 퍼 주기식 연구개발(R&D), 정부 주도의 창조경제 등 한국 정부 경제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나섰다. 한국이 침체된 성장률에서 벗어나려면 대기업·중소기업 간 생산성 불균형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쓴 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OECD는 지난해 113.1%로 전망했던 한국의 2016년 경제성장률을 2.7%로 낮췄다. OECD세계 11위 경제 대국으로 고속 성장한 한국 경제가 최근 고령화, 생산성 정체, 수출 부진 등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기사에 따르면 OECD가 한국 잠재성장률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은 것은 대·중소기업, 제조업·서비스업 간 생산성 격차다. 2014년 기준 중소기업 생산성은 대기업의 30.5%, 서비스업 생산성은 제조업의 45% 수준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OECD는 규제개혁 가속화와 R&D 투자 효율성 제고, 인적자본 증대, 중소기업 금융지원 개선 등을 권고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균형도 맞춰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공적지원 방식을 개선하고 벤처캐피털 투자 등 직접금융 활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OECD는 설명했다. 한국 정부의 창조경제 실천 계획에 대해서는 칭찬과 비판 의견이 함께 나왔다. OECD 랜들 존스 한국경제담당관은 창조경제는 중소기업과 벤처캐피털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정책적 전략이라면서도 정부가 특정 산업을 하나 정해서 장려하는 것은 원치 않는다. 이 부분은 시장을 볼 줄 아는 기업과 산업이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에도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한국의 노동시장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편차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규직에 대한 고용 보호를 완화하고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적용과 교육훈련을 확대하는 한편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