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밥

옛새우 발견, 살아있는 화석은 어떤 크기일까?

by 밥이야기 2016. 4. 11.
728x90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옛새우 14종이 국내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옛날 옛적 새우? 어떤 새우일까?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지난해 국립생물자원관과 함께 국내 하천 무척추동물 공동조사를 통해 옛새우 신종을 10일 밝혔다. 국내 하천에 유입되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만나는 구역에서 발견했다. 14종의 옛새우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한강수계에서 6, 낙동강 수계에서 5, 금강과 임진강, 강릉 임곡천에서 각각 1종이 발견된 것. 옛새우는 전 세계에 300종 정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BN 보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새우로 알려진 갑각류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것. 크기가 0.52에 불과해 맨눈으로 보기 힘들다. 새우와 같은 딱딱한 껍질이 없고 꼬리가 남아 있는게 특징이다. 옛새우가 혼합대에서 어떻게 서식하는지, 어떤 수질 조건에서 생존하는지는 세계적으로도 연구된 사례가 없다고 한다. 학계에는 그동안 일본 7, 우리나라 2종 등 총 9종만이 보고됐을 정도로 희귀종. 담수 무척추동물은 다슬기, 가재, 새우, 하루살이 등이 있으며 환경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이나 수질평가의 지표종으로 사용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견한 옛새우 신종 14종의 학술명 등을 담은 정보를 세계적인 학술지 '저널 오브 스페시스 리서치수록된다고 한다. 조주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조사연구실장은 "이번 조사로 국내 담수 혼합대에서 옛새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무척추동물이 서식하는 것을 처음 확인했다""혼합대의 보존가치가 크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새우하면 먹을거리가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화석이 아니라 요리부터? 설령 아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