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결전 중. 밀양이 될 것인가? 가덕도가 될 것인가? 10여 년째 갈등이 이어진 신공항 입지 선정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영남권과 정치권이 들썩이고 있다. 영남권 내부의 지역 갈등을 넘어 정치권 신경전으로 이어지는 등 과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어떤 결과가 나오든 큰 후폭풍이 예상된다. 오늘(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신공항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을 맡은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은 이달 24일 이전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ADPi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제시한 항공 운영·주변 개발·대기조건·연계 교통·건설비용·환경 영향 등 9개 입지 선정 기준과 국내외 공항 건설 사례 등을 고려해 30여개 세부적인 평가 기준과 가중치(배점) 등을 정한 뒤 막바지 심사를 벌이고 있다. 국토부와 ADPi는 사안의 민감성을 고려해 언론을 포함한 외부인 접촉을 피하고 있다. 일부 용역 과정에 참가한 전문가들에게는 관련 내용을 비밀에 부칠 것을 요구하는 '보안 각서'까지 받았다고 한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김해공항의 대안 필요성 제기된 1992년 부산시 도시기본계획이 출발점.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정부가 공식적인 검토에 착수했고 2007년 대선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공약했다. 이후 용역 과정에서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으로 후보지가 압축됐으나 2011년 정부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계획 자체를 백지화했습니다. 당시 극심한 지역 갈등과 정치권 입김 탓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다시 꺼냈습니다. 재검토에 나선 정부는 김해공항의 용량 포화가 예상된다며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결론 내리고 작년 6월 ADPi에 입지 선정 용역을 발주했다. 신공항 유치 경쟁을 하고 있는 부산과 대구·경북은 마주 보고 달리는 기관차처럼 충돌 직전에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용역 과정이 불공정하다”며 “가덕도가 신공항에서 탈락하면 사퇴하겠다”고 배수진까지 쳤다. 그렇다면 지역 입장에서 시민들은 신공항 스타트업(다른 관점) 프로젝트에 얼마나 관심이 많을까? 신공항 건설비용은 100% 중앙정부(국비)가 지원한다. 신공항 규모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최소 5조~10조원까지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지역 발전이 어려운 속에서 이런 대규모의 국책사업은 지방자치단체에는 얼마나 중요할까? 얼마나 많이 경제효과를 발생할지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밀양과 가덕 신공항의 장단점이 섞어 있기 때문에, 어디가 더 낫고 좋다는 표현자체가 생각보다 어려워 보인다. 사전 타당성은 어떤 곳으로 고개를 돌릴까? 문제는 정치적 잣대, 편견이 쏟아지지 않을까?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우재 경호원,재벌가 사위로서 겪었던 고통? (0) | 2016.06.15 |
---|---|
담배 경고그림,오랜 흡연으로 목에 구멍 난다면? (0) | 2016.06.15 |
박유천 논란, 노래를 떠나 마음 자세를 바꾸어야 한다? (0) | 2016.06.15 |
청년 체감실업률, 통계청이 반발하는 이유? (0) | 2016.06.14 |
신격호 부동산, 1980년대 한때 세계 4대 부호?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