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빚나는 '아름다움' 은 무엇일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무엇일까? 책밥 이야기7일기·41(2020.04.08~) 나는 매년ㆍ 매달 , 때에 따라, 시시각각, '아름다움(앎)'을 바꾼다. 사람일수 도 있고, 사물일 수도 있다. 당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점', '도서관', '책'일 수 있다. 사회적 가치 제로페이, '21세기 기본소득'일 수도 있다. 내 뜻대로. 저마다 '아름다움'의 정체성Identity이 서로 다른 것은 정상이다. '세계 종교의 역사' 일 수도 있고 '성경의 탄생', 경전 일 수도 있다. 사회적 실천과 맺는 깨달음은 아름다움의 길이다. 다큐멘터리, 음식문화도 마찬가지. 얼마나 많겠는가. 작고하신 신영복 선생은 '아름다움'의 가치를 알려주었다. 늦은 밤, 뜬 슈퍼문. 내 마음속, 잠시라도 활짝 열렸다. 성..
2020. 4. 8.
'종이ㆍ 책 이야기', 내 맛대로?
종이와 책 이야기, 내맛대로? 책밥 이야기6 일기·40(2020.04.07~) 종이와 책의 역사 이야기는 아니다. 성경의 역사도 마찬가지. 하지만 모든 분야는 인류ㆍ 문명에 얽혀 있다. 비비 꼬인 것은 아니다. 누구나 있는 그대로(팩트) 알 수 있다. 오늘 글은 내 뜻대로. 나무가 없고 종이가 없다면, 문명은 존재할수 없다? 모를 일일까?. 매체의 기원이자 공유의 지혜, 동굴과 터널을 뚫는 저장소 사물은 바로 종이와 책 이야기(tale)이다. 숱한 세월을 거친 이야기(구전). 입과 언어, 종이의 여정. 수천 년전 빙하기, 그려진 동굴벽화를 잊겠는가? 종이 ㆍ책 연대기(파피루스, 양피지, 필경사, 구텐베르크 인쇄기법 / 르네상스 인본주의, 종교혁명, 검열시대, 금서 등)는 얘기하지 않는다. 인터넷 혁명이 ..
2020.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