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연근무제 좋을까 말까? 정부가 공직사회의 정시퇴근 문화 정착을 위해 2018년까지 공무원 근로시간을 현재 연간 2200시간 이상에서 1900시간대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어떤가요? 직장 생활을 넉넉하게 쉬게 하겠다는 것인지, 틈새를 통해 취업을 확대할 것인지, 애매모호. '유연근무제’ 확대를 활용하면 주 3.5일 근무도 가능하지요? 정부 인사혁신처는 자기주도근무시간제와 계획 초과근무제, 휴가 및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을 골자로 한 ‘공무원 근무혁신 지침’을 내일(22일)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합니다. 외국 유연근무제는? 한국은 2015년 공무원 1명 기준으로 연간 2200시간 이상에 달하는 근로시간을 2016년 2100시간대, 2017년 2000시간대, 2018년 1900시간대까지 줄이겠다는 뜻입니다. 한국 사회와 미국, 유럽 사회 현상은 당연 다릅니다. 근무시간 범위는 제각기 다릅니다. 그렇다면 임금은? 주당 40시간의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근무일과 근무시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 ‘유연근무제’도 확대, 여러분 생각은? 현재까지 유연근무제는 하루 8시간 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출·퇴근 시간만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근무시간 내에 사적인 전화나 불필요한 인터넷 검색, 다른 부서 방문 등을 자제하도록 할 방침이하고 합니다. 그런데 정착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현실은 근무 혁신이 가능할까요?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태일 에코로바,갑질 이대로 좋은가? 갑질 인생? (0) | 2016.02.22 |
---|---|
광주지방교정청장 김기현, 유서를 남기고 숨진 이유? (0) | 2016.02.22 |
내부순환로 통제, 서울시 안전도시인가? (0) | 2016.02.22 |
군산 아파트 화재, 아버지와 아들이 숨지... (0) | 2016.02.22 |
라오스 교통 사고,한국인 사망 이럴수가? (0) | 2016.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