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국가인권상 거부한 여고생의 글 읽어보니

by 밥이야기 2010. 12. 8.
728x90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주최한 ‘2010 인권에세이 공모전’ 고등부 대상을 수상한 김은총(영복여자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수상을 거부했습니다. 김은총 학생은 <현병철의 국가인권위는 상을 줄 자격이 없다>라는 제목의 글을 한 인권단체에 이 메일로 보냈네요. 쉽지 않은 결정을 했습니다. 글을 읽어보니, 수상을 거부한 이유가 가슴에 와 닿습니다. 어른들이 배워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글로 표현할 줄 아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21세기에 요구되는 창의적 인간형이 김은총 학생  아닐까요? 김은총 학생 같은 사람이 많이 늘어나야지만, 한국의 인권 수준이 격상되겠지요. 김은총 학생의 글을 보니 고려대학교를 자퇴선언한 김예슬 학생의 <나는 오늘 대학을 거부한다>가 떠올랐습니다. 우선 김은총 학생이 쓴 글 전문을 읽어볼까 합니다.

 

현병철의 국가인권위는 상을 줄 자격이 없다.

 
김은총 (영복여자고등학교 3학년) /2010 인권에세이 공모전 고등부 대상 수상자

 
상을 받는다는 건 참 기쁜 일이다. 내가 열심히 쓴 글이 좋게 평가 받아서 대상까지 받게 되었다면, 그건 참 과분할 정도의 일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이 상을 거부하기로 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재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자리에 앉아있는 현병철 위원장이 주는 상은 별로 받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몇 달 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청소년인권’을 주제로 인권에세이 공모전을 하는 것을 보고 <‘언론’은 있지만, ‘여론’은 없는 학교>라는 제목으로 공모했다. ‘여론’이 없는 학교의 현실이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신문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국가인권위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을 접하고 마음이 심란해졌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위원들이 사퇴를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고 전문위원들도 사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위원들과 그 밖에 많은 사람들은, 국가인권위원장으로서 자격이 없는 현병철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러던 와중에 얼마 전 이 인권에세이 공모전에서 내가 쓴 글이 대상을 받는다는 소식을 받았고, 오랜 고민 끝에 나는 결국 이 상을 거부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비록 나는 고등학생이긴 하지만, 인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왔다고 스스로 평가한다. 수능 공부보다도 인권 공부에 더 열을 올렸고, 인권활동에도 참여해왔다. 어쩌면 현병철 인권위원장보다도 더. 발칙하고 건방지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현병철 위원장은 고등학생인 나도 느낄 만한 인권감수성도 가지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여러 위원들이 현병철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데도, 그 목소리에 한 번도 귀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인권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인권에 대한 제대로 된 개념이 박힌 사람이라면 할 수 없을 말들을 서슴없이 하는 것을 보면서, 꽉 막힌 학교, 꽉 막힌 이 사회와 별반 다른 게 없다고 생각했다. 이런 사람이 과연 나에게, 그리고 다른 나머지 수상자들에게 상을 줄 자격이나 있을까.

인권에세이로 선정된 작품들을 살펴보면 많은 내용들이 ‘언론, 표현의 자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위가 직접 선정한 작품들에서 이야기하는 인권의 ‘반도 못 따라가고 있는’ 인권위의 모습을 제대로 돌아보아야 한다. 인권위원장으로서 자격이 없는 현병철 위원장은 지금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온 것에 대해 책임지고,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것이다.

내가 에세이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인권’을 지금 현병철이라는 사람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끝도 없이 밑바닥으로 추락시키고 있다. 인권을 보장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애를 써야 할 국가인권위가 오히려 인권을 모욕하고 있는 것만 같다. 정말로 지금 상황에 심각성을 느끼고 조금이라도 성찰할 의지가 생긴다면, 감히 인권에세이 수상자인 청소년들에게 “참 잘했어요. 그러니 우리가 상 줄게요” 같은 말을 함부로 내뱉을 수 없을 것이다.

 
어쨌거나 나는 현재의 국가인권위원회를 제대로 된 국가인권위원회로 인정할 수 없으며, 현병철 위원장이 위원장으로 앉아있는 인권위에서 주는 상은 받고 싶지 않다. 현병철 위원장은 나에게 상을 줄 자격조차 없다. 나는 2010인권에세이 대상 수상을 거부한다. 12월 10일 수상식 당일에 이런 뜻을 밝힐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친구와 같이 태국 여행을 가기로 한 날짜와 겹쳐서 수상식에 참가를 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렇게 수상을 거부한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내 목소리가 보태어져, 내가 한국으로 돌아올 12월 13일 즈음에는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더 이상 현병철이라는 분이 아니라는 소식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다.

 

친구들과 고등학교의 마지막 추억을 나누기 위해, 태국으로 여행을 떠난다고 합니다. 귀국 할 때쯤에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바뀌었다는 소식을 들을 수 있다고 당당하게 자신의 소신을 이야기한 김은총 학생.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여행 잘 다녀오시길 바랍니다. 김은총 학생 뿐만 아니라, 세계인권선언 62주년을 맞아 올해의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상한 <이주노동자 방송>도 수상을 거부했다고 합니다.

인권이란 무엇일까요? 하퍼 리가 쓴 <앵무새 죽이기>의 주인공 애티커스 펀치의 말이 떠오릅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 왜 김은총 학생이 힘든 경쟁을 뚫고 선정된 상을 거부했을까요? 김은총 학생을 별난 학생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김은총 학생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권을 이야기 하고 싶은데, 국가인권위원회가 그런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김은총 학생은 상을 거부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 현병철 위원장는 왜 상임위원과 전문위원이 줄사퇴를 했는지, 상까지 거부한 김은총 학생과 이주노동자방송의 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합니다. 아니 김은총 학생의 물음에 답해야 합니다. 새벽부터 세계인권선언문을 다시 읽게 한 김은총 학생에게 감사드립니다.

 

 


▲독일 브레멘 만병초(그리스어로 장미나무) 공원(Rhododendron Park)에 가면,
  유엔인권선언 전문이 아로새겨져 있다.

1948년에 선포된 인권선언문.

그중에서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시켜 드릴까 합니다.

 
제26조

  1. 모든 인간은 교육받을 권리를 갖는다. 교육은 최소한 초등기초단계에서는 무상이어야 한다.

초등교육은 의무적이어야 한다.

기술교육과 직업교육은 원하는 누구나 받을 수 있어야 하며,

고등교육은 실력있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개방되어야 한다.

 

2. 교육은 인격의 온전한 발전과 인권과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강화하는 데로 나아가야 한다.

교육은 모든 나라들과 인종 또는 종교집단 사이에서 이해, 관용, 우호관계를 증진시키며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유엔의 활동을 촉진해야 한다.

 

3. 부모는 자녀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종류를 선택함에 있어 우선권을 갖는다.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