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방사능 피폭보다 무서운 김무성 의원의 막말?

by 밥이야기 2011. 3. 15.
728x90
방사선을 쏘이게 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피폭이라고 합니다. 방사능병을 뜻하기도 하지요. 피폭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렘(rem)과 시버트(sv)입니다. 0.1~0.25 시버트에서는 화상, 탈모, 구토감 등 급성장애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3시버트는 급사가 나타나며, 6시버트는 전원 급사. 그렇기에 지금 인터넷 공간에서는 방사선마스크 관련 검색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일본 인근 심해에서 발생된 지진이 쓰나미를 만들고, 쓰나미가 만들어낸 상처를 더듬어 볼 겨를없이 원전 도미노 폭발로 인한 피폭 위험성이 시나브로 커지고 있습니다. 바람에 따라 동경(도쿄)도 안전할 수가 없다고 외신은 타전하고 있네요. 지진 쓰나미로 인한 공포도 크지만, 원자력 사고로 인한 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가늠할 수 없지요. 특히 일본은 원자력폭탄의 위력을 체감한 나라이니까요. 


1986년 구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 방사능이 유출되었지요. 세계 최대 참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민간이 2천5백명이 넘게 숨졌고, 43만명이 암, 기형아 출산 등 휴우증을 앓고 있지요. 원전 사업은 딜레마이지만, 블루오션이 아니라 레드오션입니다. 만일 하나의 사고가 엉청난 파급력(파괴력)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친환경하고는 거리가 먼 사업입니다.지만 이명박 정부는 원전이 마치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중심인냥 홍보하고 있지요. 과대망상입니다. 원전 기술은 일본이 한국보다 앞서 있습니다. 만일 한국에 지진 쓰나미가 발생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이웃나라 강 건너 불 구경 할 때가 아닙니다. 오늘 드릴 이야기는 원자력과 피폭이야기가 아닙니다. 말의 광기, 막발퍼레이드, 말의 피폭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 대표는 울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1년 한나라당 중앙연수에 참석, 피폭보다 무서운 말의 피폭을 선사했습니다. " 김대중,노무현 좌파정권의 잘못된 부동산 정책과 반기업 정책이 오늘날 전월세대란과 실업자를 만들었다 " 라고 말했습니다. 다음 대선에 한나라당이 집권하지 못하면 좌파정권이 보복적 정책을 펼 것이기 때문에 독립운동이나 민주화투쟁 이상의 구국일념으로 우파정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역설했지요. 잘못되면 과거,남의 탓이요. 잘되면 자신들 공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 결국 한나라당이 기댈 언덕은 우파포퓰리즘 뿐이라는 것을 재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실력으로 승부하기에는 자신이 없는거지요. 좌와 우에 대한 명확한 상도 없이, 좌우를 나누어 분열을 꾀하는 이런 사람들의이야 말로 피폭수준급입니다. 김무성 의원의 말피폭 단위는 6시버트 수준. 급사는 하지 않지만, 언어와 문화를 오염시키는 방사능급입니다.


이명박 정부들어 가장 심각한 것은 언어의 오염. 지금까지 이명박 정부 사람들과 한나라당 인사들의 막말과 거짓말을 피폭량으로 측정해본다면 얼마가될까요? 방사능 피폭은 측정할 수 있지만, 막말은 측정 불가능입니다. 말의 피폭을 국민에게 선사하고 있는 이런 분들은 사회에서 격리 수용시켜야 합니다. 






세계적인 반핵운동가 헬렌 칼디코트는 쓴《원자력은 아니다》.
원자력이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에너지인가를 묻고 있습니다.
원자력은 결코 경제적이지도 청정하지도 친환경적이지도 않으며, 
 오히려 인류를 위협하는 잠재적 재앙이라고 단언하고 있지요. 
“핵의 재앙이 일어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 일어날 것인가가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만약 원자력발전소가 테러리스트의 공격이라도 받는다면 
그 결과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파국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작가는 원자력발전소가 원자폭탄 제조공장이라고 힘주어 말합니다.



안드리스 피발그스 EU 에너지 집행위원은 

“원전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 것이라고 믿는 것은 어리석다.”면서 
“유럽이 직면한 에너지 위기를 해결할 근본 해결책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뿐”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지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숨진 사람들....

역사상 가장 큰 원전 참사로 기록된 체르노빌 원자로 폭발.
당시 낙진(落塵) 피해가 바다 건너 영국, 스웨덴까지 미쳤을 정도로 엄청난 방사능 구름을 만들었다.
1986년을 전후해 태어난 ‘체르노빌 아이들’은 아직도 갑상선암, 혈액암 등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앞으로 여러 대에 걸쳐 영향이 나타날 전망이다.(서울신문)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를 떠올리며
세계적인 사진가그룹 맥그넘 정회원 사진작가(폴 푸스코 Paul Fusco)가 
'체르노빌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렌즈에 담은 참상을 보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합니다.

 

 

 

  
사진: 폴 푸스코(Paul Fusco,미국/1930~)
폴 푸스코는 미국의 사회문제를 취재하면서 조명을 받기 시작
1974년 세계적인 보도사진전문가 그룹 매그넘의 회원이 됨.
1980년부터는 사회적으로 차별 받거나 억압 당하고 있는 사람들과
대안적인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촬영하기 위헤 캘리포니아 밀 배리로 이주함.
장기프로젝트로 '체르노빌 원전 사고 피해자들을 기록.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