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장자연리스트, 사자의 서가 산자를 잡을까?

by 밥이야기 2011. 3. 8.
728x90
 
고 장자연 자필편지가 공개되자, 여론이 들끓고 있다. 장자연 리스트를 공개하라는 목소리. 벌써 검증되지 않은 리스트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다. 누리꾼들이 검증해야 할까? 31명 100여 차례 성접대 기사를 내보낸  SBS 추가 기사도 나올 것 같다. 나름 필적대조와 검증을 했다고 하니, 검경(경찰과 검찰)도 재수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 문제는 검경이 제대로 수사를 할 것인가? 물음표다. 2년전 수사를 제대로했다면, 장자연리스트가 재점화되었을까? 또 한번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겨야하나? "복수를 해달라" 얼마나 괴로웠으면 복수를 이야기했을까? 31명의 명단 공개와 진실을 밝히는 작업은 개인의 복수를 넘어 공공의 적에 대한 사회적 메스를 가해야 한다.


장자연 자필 편지는 '사자의 서'다. 과연 죽은 자의 분노가 현실의 분노로 바뀌어 사자의 서에 담긴 리스트를 공개할지 지켜볼 일이다. 성상납의 역사는 뿌리가 깊다. 뿌리가 깊은 만큼, 뿌리 뽑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검찰도 성상납의 온실 아니었나? 피디수첩을 통해 공개되지 않았다면, 뿌리 깊은 나무처럼 여론의 바람에 흔들리 않았을 것이다. 장자연 자필편지를 통해 성상납 리스트를 재수사해야 하는 이유는 한 개인의 복수 때문이 아니다. 성상납은 부패의 고리이기 때문이다. 돈과 성은 물과 기름이 아니라 찰떡궁합이다. 밤의 역사는 술자리와 성접대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너무 과장이고 억지인가?


공공의 적은 누구일까? 어떤이는 왜 장자연은 성접대를 거부하지 못했을까? 묻는다. 장자연의 먹이사슬의 고리에 있었다. 돈과 출세의 징검다리를 건너야만 했다. 떨어지면, 살아남지 못한다. 치떨리는 치욕을 감뇌하며, 성접대를 하면서 괴로웠을 것이다. 그래서 그녀가 미루어 최종 선택한 것은 죽음이었다. 자살이었지만, 악마의 유혹이 만든 사회적 타살. 검경은 성역을 넘어 재수사해야 한다. 사자의 서를 죽은 자의 변명이나, 악마는 없다라고 단정짓지 말라. 오늘(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부녀절)'이다. 장자연 자필편지는 성 모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식 천민자본주의가 뿌리 깊게 말뚝 박아 둔 나쁜 관행과 부패 커넥션을 뿌리 뽑는 계기가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것을 한꺼번에 밝힐 수 없는 구조의 벽을 조금씩 허물 때다. 누가 공공을 말했고, 공공의 적이었는지 살펴 헤아려보자.


장자연은 어머니 제삿날에도 성접대를 했다. 눈물지었다. 그녀가 글을 쓸 때 흘렸던 눈물은 보이지 않지만, 그 흔적을 찾아 진실을 밝히는 몫은 살아있는 사람의 몫이다. 죽은 자의 복수가 아니라, 살아있지만 또 죽을 수 있는 제 2의 장자연을 막는 길. 장자연리스트를 또 한번 스쳐지나가는 깜박등처럼 달콤씁쓸하게 삼껴버리지 말아야 될 이유다. 인생은 공수래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지만, 장자연은 편지를 남겼다. 빈 수레에 말의 잔치만 싣고, 빈 결과(어떤 오리발을)를 내놓을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 세계 여성의 날에만 여성을 생각하자? 장자연 기일에만 사자의 서를 기억하자?







      *이미지출처:한겨레신문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