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밥

트위터 자살예고, 한국 자살률 어떻게 보아야 하나?

by 밥이야기 2010. 6. 16.
728x90

 

 





자신의 트위터에 자살을 예고했던 분이 자살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마음이 아프네요. 한국의 자살률은 OECD 회원 국가 중에 1위입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인구는 21.5명. 회원국 평균 11.7명보다 두 배가량 많습니다. 최진실씨가 자살한 이후에 자살률이 급등하기도 했지요. 이른바 모방 자살.

 

오죽하면 자살을 결심할까? 자살을 용기로 사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 하지만 자살에 이르게 한 배경을 살펴보면 심정적으로는 이해가 갑니다. 자살 이유도 여러 가지가 있겠지요. 생계형자살, 우울증, 스트레스 등. 한국의 경우 시골 어르신들과 20,30대 자살 비율이 높습니다. 자살은 개인적 이유로 몰고 갈 수만은 없지요. 사회적 책임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빠른 변화를 촉구하는 산업문명사회, 도시집중화, 공동체의 붕괴 등 얼마 전 미국 워싱턴포스트지는 한국 자살률에 대한 기사를 쓰기도 했습니다. 미국보다 한국은 자살률이 2.5배나 높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소속된 나머지 29개 국가의 국민과 비교할 때 더 많이 일하고, 덜 자고, 입시학원에 더 많은 돈을 쓰고 있다"(워싱턴 포스트)




* AP가 보도란 한국 자살률 관련 기사 - 2009년 한국에서는 14,400명이 자살했다.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워싱턴 포스트지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유력 신문, 방송 통신사들이 한국 자살률에 대한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서글픈 일입니다. 이른바 부자나라로 불리는 유럽국가의 자살률은 이제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계속 자살률이 높아만 지는 걸까요. 자살예방도 중요하지만, 스트레스를 인정해 주는 사회분위기도 인정되어야 합니다. 사람은 표면적으로는 다 건강해 보이지만, 한가지 씩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신병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합니다. 외국 같은 경우, 특히 미국은 수시로 정신질환을 체크하고 있지요. 특히 큰 사고를 겪은 경우에는 필수 코스입니다. 트라우마(사고 후 정신적 외상)가 심하면 자살에 이를 수가 있으니까요. 동네와 마을의 해체로 인한 어르신들의 고독 소외, 인터넷과 오락 중독으로 인한 집중력 상실 등 한국 사회에서 자살에 이르게 하는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 OECD 회원 국가중 자살률 1위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의 대화, 가족공동체의 복원이 가장 시급합니다. 하지만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현실적 어려움이 많지요. 결국 성장과 빠름에 경제관이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이상, 자살률을 줄이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유명연예인들이나 사회여론지도층의 자살 또한 모방, 충돌 자살을 일으킬 수 있기에, 자살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관심과 배려가 절실합니다. 정부가 자살률을 방치하는 것은 사회적 타살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수도권 과밀화는 큰 배경이 될 수 있습니다. 지방 경제를 복원하고 농업공동체가 복원되지 않는다면, 근원적인 처방을 내릴 수가 없지요. 경쟁적 교육관, 출세를 바라보는 인식, 인문학의 종말, 학연지연으로 뭉친 사회. 이제 성장의 그물코가 아니라, 공존의 그물코를 다시 짜야 합니다. 다수를 희생시키는 경제성장이라는 잘못된 상상력을 버리지 않는 이상, 내 자녀가 식구가 친구가 자살할 수도 있다는 문제로 자살률을 심각하게 바라보아야 할 때라는 것을....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