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군이 화두가 되었다? 협의없는 사전 사드배치에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또한 경북 성주군 일부 학부모가 15일 초·중·고생인 자녀 등교를 거부하고 있다. 학부모가 자녀 등교를 막거나 학생이 등교하지 않고 있다고 성주교육지원청은 설명했다. 연합뉴스가 초·중·고교에 등교를 거부한 학생 수를 파악한 결과 5개 학교 4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 학교를 포함한 7개 학교에서 학생 수십 명씩 조퇴하겠다고 담임교사에게 밝힌 것. 이헌희 성주교육장은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장에게 비상연락을 해 학부모를 설득하도록 조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학교운영위원, 학년별 대표 학부모 등이 앞장서 단체카톡방에서 자녀 등교거부와 집단조퇴를 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주 한 고등학교는 "등교거부 학생은 없는데 학부모 대표들이 학교에 찾아와 자녀의 집단조퇴를 통보했다"며 "학생들이 술렁이는 등 학교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말했다. 등교거부 또는 집단조퇴 학교는 성주읍내 초등 2곳, 중학 2곳, 고등 2곳이고, 선남면 초등 1곳 등입니다. 성주군 초중고교 방학은 오는 22일 또는 25일부터. 아무튼 7개월 동안 주민 설득 작업을 한 일본의 경우를 보셨는데요. 어떻게 한마디 말도 없을 수 있느냐, 성주 군민들의 반발은 더 격앙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등교를 거부하고, 삭발투쟁도 이어지고 있다. 학교에 등교할 시간, 초등학교 1학년생과 부모가 함께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생활 터전이 위협받는다'는 불안감에 자발적인 릴레이 삭발 투쟁이 이어졌다. 참여를 원하는 군민들이 너무 많아 하루 5명으로 인원을 제한할 정도이다. 밤에는 사드 반대 촛불집회가 열렸다. 행사 주체도, 시간, 장소 약속도 없이 시작됐지만 그제 200여 명이 모였던 집회 인원은 계속 늘어날 전망. 대구경북지역 30여 개 시민사회단체도 대구의 새누리당 경북도당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사드배치 철회를 촉구했다.
'사회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 역주행,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이유? (0) | 2016.07.16 |
---|---|
터키 쿠데타,터키 군부가 계엄령을 선포 통행금지? (0) | 2016.07.16 |
황교안 탈출, 사드 배치 성주를 빠져 나간 이유? (0) | 2016.07.15 |
박준영 변호사, 삼례 3인조,세 청년이 억울한 누명을 썼다? (0) | 2016.07.15 |
니스 테러, 트럭 테러 한국인 5명 연락두절? (0) | 2016.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