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사회구현2

진중권. “공정이라는 이름은 계속되어야 한다?” ‘공정 사회’. 말이 씨가 되어 부메랑 되어 자신에게 돌아오고. 자신의 발등에 도끼를 찍은 셈이지요. 자신이 놓은 올가미에 자신이 걸리다.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분명 시의적으로 적절하나 오히려 현 정부의 굴레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지요. 공정 사회는 아름다운 사회입니다. 아름답게 되기 위해서는 권력 얼굴 이면에 감추어진 추한 행각이 들어나야지요. 굴레가 아니라 족쇄가 될 수 있지요. 공정한 사회 각론이 어떤 모양으로 나올지 모르겠지만. 만약 공정 사회 가이드라인이 마련된다면, 우선 그 잣대로 이명박 정부 지난 2년 6개월을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나요? 그렇게 할 뜻이 있었으면, 애초에 그런 분들 후보로 내세우지를 않았겠지요. 제가 던진 부메랑에 제가 맞고 무슨 자기희생적 선구자.. 2010. 9. 6.
4대강 사업이 ‘공정 사회 구현’ 시금석 되어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언급한 ‘공정한 사회’가 요즘 화제를 불러일으키는 화두가 되었다. 여기서 ‘공정(公正)’이란 공평하고 올바른. 공명정대(公明正大)함이란 하는 일이나 태도가 사사로움이나 그릇됨 없이 아주 정당하고 떳떳함을 뜻한다. 공정한 사회란 말이 나왔을 때 조갑제씨는 ‘공정’이라는 말을 쓸 때는 한자로 표기해야 뜻이 정확하게 전달된다고, 공직자들과 언론의 한글로만 ‘공정’을 표기했다며 수준이하다고 투덜거렸다. 한자표기를 달리하면 공정(空井)은 우물이 말라버렸다는 뜻. 한국 사회를 하나의 우물로 비유할 때, 우물을 구성하는 것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사람과 사람 간에 지켜야 할 바른 가치가 있어야 한다. 공정도 물을 구성하는 핵심 인자다. 공정한 사회는 이야기 하려면 먼저 공.. 2010.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