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의위기2

인문학과 블로그의 교집합은 '글쓰기' 인문학(人文學). 인문학이 죽었다고 합니다. 과연 인문학은 죽은 것일까요? 죽어가고 있는 걸까요? 출세학이 판치는 실태를 인문학에 빗대어 비유하고 있는 걸까요? 위키 백과에는 인문학을 이렇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처한 조건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에서 경험적인 접근을 주로 사용하는 것과 구별되는 분석적이고, 비판적이며, 또는 사변적인 방법을 넓게 사용한다. 인문학의 분야로는 철학, 문학, 역사학, 고고학, 언어학, 종교학, 여성학, 미학, 예술, 음악 등이 있다.(위키백과)' 인문학은 인간의 ‘사고 지평’을 넓고 깊게 해주는 마중물입니다. 시인의 죽은 사회처럼 인문학이 죽은 사회는 꿈을 가두어 놓는 '기계적 사회' 입니다. 1. 글쓰기와 인문학 이웃 나라 일본은 지방.. 2010. 1. 3.
암기식 교육이 탄생시킨 정운찬과 김준규 정운찬 총리는 마루타를 모르고, 김준규 검찰총장은 뇌물성 촌지와 이벤트성 뽑기 선물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정운찬 총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경제학자 출신. 김준규 검찰총장은 서울대 법대를 나온 국제통 검사출신. 이른바 경제계와 법조계 양대 산맥을 오른 전형적인 한국 사회 엘리트들이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은 상식 밖이다. 교양 수준도 의심스럽다. 속빈 권력의 통나무들인가? 이들은 수직적 지식인들이다. 지성인이 아니다. 사람은 인품은 지식에서만 나오지 않는다. 머리가 좋다고 만사형통이 아니다. 사고의 힘과 깊이는 암기식 교육만으로 나오지 않는다. 두 사람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면서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떠올려본다. “인문학이 죽었다고 한다”. 이른바 사회생활과 밥벌이를 위한 기능형 판박이 주입식 교육이 판치.. 2009.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