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비아사태3

리비아 카다피 인형이 나무에 목 매달린 이유 ▲ 미국의 한 어린이가 리비아 군의 폭력진압 소식을 듣고, 오바마 대통령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모습 리비아. 1969년 입헌군주제였던 리비아 아랍 완국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거머 쥔 카다피. 카다피는 군사 쿠데타 성공 이후, 국기를 녹색으로 바꿉니다. 42년 동안 장기 독재를 이어온 카다피. 튀니지, 이집트로 이어진 재스민 효과가 과연 리비아에서도 성공할지 여론의 촉각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비아의 경우 인터넷과 시민들의 시위 관련 정보가 많이 차단되어 있어서 동향 파악이 쉽지 않습니다. 군부를 장악하고 있는 카다피와 대적해서 싸우기도 만만찮아 보입니다. 사진 전문 공유 사이트 플리커에는 미국에 거주하는 리비아인들이 카다피 퇴진을 요구하는 사진을 담아 올리고 있습니다. 최근 올라 온 사진 중에 한 청.. 2011. 2. 23.
카다피 퇴진거부, 순교의 길은 퇴진뿐이다 튀니지, 이집트로 이어진 '독재정권 타도' 불씨가 리비아에서도 활활 번지고 있다. 쉽게 꺼지지 않을 것 같아 보인다. 세계에서 가장 오랜 기간, 정권을 휘어잡고 있는 무아마르 알 카다피. 그에게 남은 마지막 선택은 무엇일까? 전투기를 동원 시위의 불길을 불로 꺼보자고 맞 폭탄을 날렸지만, 시위는 더 거세지고 있다. 폭탄은 결국 시위를 잠재울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카다피는 순교자의 길을 걷겠다며, 퇴진을 사실상 거부했다. 카다피는 극단적인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반미의 대명사로 불리기도 한다. 아랍사회주의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장기집권의 폐해가 리비아 시민들을 결집시켰다. 카다피는 미국을 비롯 서방국가 입장에서는 가시같은 존재다. 한 때 가장 가난한 국가 중에 하나였지만, 세계 4위 규.. 2011. 2. 23.
김무성 발언과 리비아 사태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한 라디오 방송프로그램(서두원의 SBS전망대)에 출연 구제역 막말시리즈를 이어갔다. 축산농가의 베트남, 중국 여행을 자제를 당부했다. 자제가 아니라 질타. “다른 사람은 그 지역 관광을 가더라도 축산인들은 자기가 키우는 가축에 전염병이 옮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그런 나라에 관광을 가면 안 된다(김무성)” 구제역 파동을 축산농가에 전가시키겠다는 발언이나 마찬가지. 김 원내대표는 뿐만아니라, 한국 축산업의 한계를 지적했다. 수출 효자 품목이 아니라는 것. 수출은 적은데 구제역으로 드는 비용이 너무 크다는 뜻. “우리나라는 축산업으로 20억원밖에 수출을 못 하는데 3조원을 쏟아붓는 게 말이 되느냐. 축산업은 우리나라 실정에도 안 맞는다. 소와 돼지 분뇨가 엄청나게 환경을 오염시.. 2011.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