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밥

재벌개혁, 금속노조 총파업 펼친 이유?

밥이야기 2016. 7. 22. 20:59
728x90

재발개혁, 늘 이야기하지만 쉽지 않다. 세대까지 이어지는 재벌가? 쉽사리 습관이 바뀌지 않는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조합원 15만여명이 재벌개혁·구조조정 중단을 내걸고 22일 파업을 단행했다. 당일 파업참가 규모로는 1997년 노동법 개악저지 총파업 이후 최대인원이라고 금속노조는 밝혔다. 총파업에 돌입한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는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차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정부는 조선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조선업을 포함한) 제조업 위기는 재벌의 방만한 경영이 자초한 결과"라며 "정부는 세습 체계,사내유보금 등에 대한 강도높은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상구 금속노조 위원장은 "금속 노동자들은 절망과 분노에 빠졌다"며 "공동교섭에 응하라는 요구에 현대차 사측은 즉각 응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결의대회에 참여한 윤종오 무소속 의원은 "총파업을 배부른 투쟁이라고 매도하는 세력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는 지극히 정당한 투쟁"이라고 말했다. 이들 가운데 현대자동차 그룹사·협력사 소속 조합원들 1만5000여명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앞에서 오후 4시부터 집회를 열어 회사쪽에 그룹사 공동교섭을 요구하는 한편, 현대차 협력사인 유성기업의 노조탄압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같은 시각 한국지엠·현대중공업 등 1만5000여명의 노동자들은 여의도 국회 앞에서 조선산업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금속노조는 “최대규모의 총파업과 상경투쟁이 전개되는 것은 재벌개혁과 현대차 공동교섭에 대한 조합원의 관심과 요구가 높고, 일방적 구조조정에 대한 분노가 폭발할 지경에 왔있다는 것”이라며 “회사와 정부는 파업을 축소하고 불법으로 매도할 것이 아니라, 재벌 착취 구조 해결을 위해 노동자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고용노동부는 20일 “금속노조 기아차지부의 파업은 조정절차 통한 쟁의권을 확보하지 않아 불법”이라고 밝힌 바 있다.